“반도체 특화단지 추가 지정에 성남시 포함 되어야”- 정부, 2023년 반도체 특구 및 소부장 특구 지정 · 하반기엔 바이오 특구 지정 계획
|
![]() ▲ 박종각 의원 © 뉴스브레인 |
"반도체 특화단지에 성남시 포함돼야..."
300조원의 세계 최대 규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수 있는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에 따른 반도체 특화단지에 성남시가 재지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성남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 박종각 의원(국민의힘, 이매·삼평동지역구, 경영학박사)은 지난 9월 14일 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에서 4차산업추진단 미래산업과 행정사무처리상황청취 자리와 18일 제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이 같이 발언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지난 3월 15일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에서 2042년까지 300조원 규모로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등 민간기업의 대규모 신규투자를 바탕으로 조성되는 반도체 클러스터는 단일 단지기준 세계 최대규모다.
710만㎡(215만평) 부지에 시스템반도체 중심의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팹) 5군데가 들어선다. 정부는 국내외 우수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팹리스(반도체 설계) 분야 기업을 최대 150곳을 유치할 계획이다.
신규 클러스터는 기흥, 화성, 평택, 이천 등에 있는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 및 인근 소부장 기업, 팹리스 밸리(판교)와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반도체를 넘어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완성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국가첨단산업단지 조성의 후보군에서 대한민국의 실리콘밸리라 불리우는 성남시가 배제되었으며, 지난 7월 7개 특화단지 조성에도 고배를 마셨다.
박 의원, "반도체 특화단지 재지정 앞두고 특단의 대책 수립하라!"
![]() ▲ 박종각 의원 © 뉴스브레인 |
박 의원은 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에서 "첨단 단지 선정의미는 국가정책에 돈과 인력 육성정책을 통한 미래의 흐름을 같이 한다"며, "지금이라도 재지정을 앞두고 특단의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서는 성남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다섯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우선 ▲3000평이 넘는 유휴부지를 기업 중심으로 활용하는 방안 수립 ▲자치단체장이 조성할 수 있는 규모의 첨단산업 유치 방안을 마련해 판교테크노밸리, 하이테크밸리, 야탑밸리 등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활성화 방안 필요 ▲기업체 사무실 부족 문제를 해결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 종업원 기숙사, 주차장 문제 해결 ▲출퇴근 위한 교통 편익문제 등을 고려해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성남시 4차산업추진단 황규범단장은 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에서 “국가전략사업단지 및 여러가지 진행 준비부분에 대해 의원님들과 긴밀히 협의하겠다”, 이진찬 부시장은 예산결산위원회에서 “집중해 나가야 할 사업에 대해서 준비하겠다”며 시의원들께 도움을 청한다고 답변했다.
박종각 의원은 마무리 발언에서 “성남시의 발전에는 여야를 막론하고 모두가 발벗고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라며, “성남의 미래를 열어갈 첨단 기업들이 마음놓고 연구개발 하고, 미래를 열어 갈수 있도록 종합적인 지혜를 모아 중장기 플랜을 만들어야 한다”고 다시 한번 촉구했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