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그까이꺼 뭐 대~충"... 성남시, 탄천교량 점검 '출입계단' 기준없이 '오락가락' 설치 빈축

- 정자교 붕괴사고 후, 탄천 교량 '보수보강 및 보도교 신설공사' 현장마다 점검 '출입계단' 설치... 위치 '제각각'
- 교량 점검 출입계단, 탄천 '상류쪽 혹은 하류쪽'에 설치... 교량마다 설치 위치 달라
-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예규에는 홍수 시 상류에서 떠내려 오는 유송잡물이 걸리지 않도록 '하류쪽 설치'를 원칙
- 취재에 들어가자 성남시 도로과 관계자, "공사중인 탄천 교량 전수 조사해서 하류쪽으로 설치하겠다" 

뉴스브레인 김기태 대표기자 | 기사입력 2025/06/07 [10:18]

"그까이꺼 뭐 대~충"... 성남시, 탄천교량 점검 '출입계단' 기준없이 '오락가락' 설치 빈축

- 정자교 붕괴사고 후, 탄천 교량 '보수보강 및 보도교 신설공사' 현장마다 점검 '출입계단' 설치... 위치 '제각각'
- 교량 점검 출입계단, 탄천 '상류쪽 혹은 하류쪽'에 설치... 교량마다 설치 위치 달라
-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예규에는 홍수 시 상류에서 떠내려 오는 유송잡물이 걸리지 않도록 '하류쪽 설치'를 원칙
- 취재에 들어가자 성남시 도로과 관계자, "공사중인 탄천 교량 전수 조사해서 하류쪽으로 설치하겠다" 

뉴스브레인 김기태 대표기자 | 입력 : 2025/06/07 [10:18]

 

2022년도에 '물 난리' 겪고도... 금새 잊었나?

 

 

2023년 4월 5일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탄천을 횡단하는 정자교 보도 붕괴로 1명이 숨지고, 1명이 크게 다친 '정자교 붕괴사고'가 나자 성남시는 탄천 내 모든 교량을 대상으로 긴급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총 19개 교량에 대한 복구 공사를 진행해 왔다.

 

성남시에 따르면, 2024년에는 백궁보도교와 신기보도교의 캔틸레버부 철거, 양현교와 황새울보도교의 보수·보강 공사를 완료했다. 올해는 캔틸레버부 철거 및 보도교 신설이 진행 중인 14개 교량 가운데 서현교, 금곡교, 정자교가 올 5월에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나머지 교량들도 8월까지 순차적으로 공사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구미교 전경  © 뉴스브레인



본문이미지

구미교 경사형 출입계단이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 뉴스브레인



본문이미지

돌마교 경사형 출입계단이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 뉴스브레인

 

 

미금교 경사형 출입계단은 하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 뉴스브레인

 

 

불정교 경사형 출입계단은 하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 뉴스브레인

 
 

금곡교 경사형 출입계단은 하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 뉴스브레인



정자교 경사형 출입계단은 하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 뉴스브레인

 
 

과연 탄천의 교량들에 대한 '보수보강 및 보도교 신설공사'는 잘 마무리 되어가는 걸까?

 

기자가 탄천 일부 교량을 둘러 본 결과,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하는 시설물이 있다. 외부로 노출되어 눈에 잘 띄는 교량 점검 시설물이다.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예규 등 관련 규정에 띠라, 수시 또는 정기적으로 교량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출입계단(또는 사다리)과 교대·교각 주변에 점검 통로 등 점검 시설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현재 공사 진행중이거나 완료한 탄천의 모든 교량들의 '보수보강 및 보도교 신설공사' 현장에는 출입계단을 경사형(경사형 출입계단)으로 설치한 것을 누구나 쉽게 알수가 있다.

 

문제는, 경사형 출입계단 설치 위치가 제각각이라는 것이다.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예규에 의하면, "하천 상 교량에 설치하는 출입사다리 및 출입계단은 하류 쪽으로 설치하여 홍수 시 상류에서 떠내려 오는 유송잡물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집중 호우시 파손 우려 때문에 하류쪽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라는 것이다.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일반 시민들도 이해할 수 있는 상식적인 얘기다.

 

 

▲ 2022년 집중 호우시 파손된 탄천 정자교 출입 사다리 등 교량 점점 시설물. 교량 점검 출입 사다리가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어 피해가 컸다.  © 뉴스브레인



▲ 2022년 집중 호우시 파손된 탄천의 교량 점검 시설물. 교량 점검 출입 사다리가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어 피해가 컸다.  © 뉴스브레인



▲ 2022년 집중 호우시 파손된 탄천의 교량 점검 시설물. 교량 점검 출입 사다리가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어 피해가 컸다.  © 뉴스브레인



▲ 2022년 집중 호우시 파손된 탄천의 교량 점검 시설물  © 뉴스브레인



그러나, 구미교와 돌마교 등 일부 교량은 교량 하류쪽이 아닌 상류쪽에 경사형 출입계단이 설치되어 있어, 집중 호우시 파손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관내 시공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성남시는 지난 2022년 집중 호우시 탄천의 물이 불어나 교량의 점검 시설물들이 많이 파손된 경험이 있기에, 현장 여건 등을 감안하여 교량점검 시설물을 설치시 각별히 유념해야 한다"면서,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예규 원칙에도 어긋나고, 집중 호우시 파손 우려가 있으므로 경사형 출입계단은 교량 하류쪽으로 재시공해야 함이 타당하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취재에 들어가자 발주처인 성남시 도로과 관계자는 "공사중인 탄천 모든 교량들에 대해 전수조사를 하고, 교량 하류쪽으로 경사형 출입계단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